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강세 토픽] 전염병 (코로나19) 테마, 유나이티드제약 +24.03%, 유나이티드제약 +24.03%

페이지 정보

작성자 팽우라 작성일20-11-19 17:35 조회1,706회 댓글0건

본문

>

[전염병 (코로나19)]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26% 상승세이다. 유나이티드제약(033270)+24.03%, 유나이티드제약(033270)+24.03%, 진매트릭스(109820)+16.61%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전염병은 사스(2003년)와 메르스(2015년)처럼 사람간 전염되는 호흡기 질환이 대표적. 전염병 발생시 소비 심리 악화, 외부활동 자제 등으로 경기 위축 우려가 발생.
홍콩의 경우 사스가 발생한 2003년 초 이후 소비 심리 및 소매판매가 위축이 4~5월까지 진행되다가 확진이 진정되던 6월부터 빠르게 회복되었으며 4~5월에 한시적으로 숙박시설 점유율 또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남.
한국의 메르스도 2015년 5월 20일부터 한 달간 확진환자 수가 집중적으로 늘어나면서 그 해 6월 백화점 판매와 음식/숙박업 위축을 가져왔음. 다만 이때 당시 민간소비 영향은 야외활동 위축으로 온라인 쇼핑이 급증하면서 SARS 당시 대비 적었음.
2019년 12월에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이후 코로나19) 발생. 코로나19는 사스와 메르스처럼 포유류나 조류에서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RNA바이러스. RNA는 DNA에 비해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변형이 쉽게 일어나 백신 개발에 어려움이 있음.
아울러 코로나19는 과거 사스와 메르스와 달리 무증상 환자의 전파력이 강해 세계적으로 확진 속도가 더욱 빠른 상황. 실제로 바이러스 발생 이후에도 꾸준히 감염 환자가 증가. 2020년 11월 3일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 환자는 4690만명을 넘어섰고 사망자 수는 121만명. 국내는 누적 확진자 2만6807명이며 사망자는 472명.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공중보건비상사태(PHEIC)를 선포(2020.03.12).
글로벌 제약사들은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경쟁 중. 그 가운데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 90% 이상 효능이 있다고 중간 분석 결과 발표(2020.11.09). 회사 측은 2020년 내에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EUA)을 백신 최초로 신청할 것으로 기대. 다만 일각에서는 이 백신에 대해 감염 후 전파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옴.
코로나19 백신 개발 이후에도 제조·유통·공급 과정에서 여러 악조건이 남아 종식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이 남아있음. 영국 제약산업협회는 소규모 시험 단계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확인해도 대규모 생산에서는 변수가 많아 생산에 차질이 있을 것으로 판단. BBC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후보 중 일부가 마이너스(-) 70도~80도 가량의 냉동 보관을 필요로 하는데, 상당국의 의료기관은 이런 시설을 부족하다고 언급.
컬럼비아 메일맨 대학원은 코로나19가 반복적 발병을 일으키는 규칙적인 특징 때문에 재발병하는 '엔데믹(풍토병)'이 될 가능성도 높다고 지적. 이에 코로나19 완전 종식까지는 백신 개발 이후에도 시간이 상당 부분 소요될 것으로 예상.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이 90% 이상 효능이 있다고 중간 분석 결과 발표(2020.11.09). 회사 측은 2020년 내에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EUA) 신청할 것으로 기대. 다만 일각에서는 이 백신이 감염 후 전파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옴.
(마지막 업데이트 2020. 11. 18)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유나이티드제약(033270)+24.03%국내 및 해외에서 코로나19 흡입치료제인 UI030 임상 2상 진행. 변종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폐세포 실험도 진행 중으로 알려짐.
유나이티드제약(033270)+24.03%국내 및 해외에서 코로나19 흡입치료제인 UI030 임상 2상 진행. 변종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폐세포 실험도 진행 중으로 알려짐.
진매트릭스(109820)+16.61%폐렴 원인균 진단 제품 생산.
엑사이엔씨(054940)+7.29%반도체 클린룸용 특수재료인 무정전 클린판넬(SGP) 생산·시공 업체로, 음압병동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바이오클린룸 수주 기대감 형성.
휴마시스(205470)+7.04%체외진단기기 전문 업체. 셀트리온이 개발한 코로나19 항체로 신속진단키트를 개발.
코디엠(224060)+6.37%라텍스 장갑 유통업체로, 노르웨이 현지 연어가공 공장에 공급. 코로나 바이러스 방지를 위하여 항공업계 등에서 라텍스 장갑 사용을 늘림에 따라 수혜 기대감 형성.
피씨엘(241820)+5.98%체외진단 의료기기 전문업체로, 감염병의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검출 키트 개발.
수젠텍+4.55%중국 우한에 본사가 있는 휴먼웰 헬스케어 그룹과 우한 폐렴 진단을 위한 신속 진단키트 개발.
금호에이치티(214330)+4.45%코로나19 관련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치료제를 개발 중인 다이노나와 합병 추진. 구체적인 합병 추진 계획은 2021년 1분기부터 협의할 예정으로 알려짐.
앱클론(174900)+4.36%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M201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 유한양행과도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공동 개발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엔지켐생명과학(183490)+3.94%코로나19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EC-18에 대한 미국 임상2상 중.
유바이오로직스(206650)+3.76%자체 개발한 면역증강기술(EuIMT)과 20년 6월 출자한 미국 팝바이오텍사의 항원전달기술(SNAP)을 활용한 코로나19 백신 개발 중. 20년 9월 중순에 비임상 시험을 개시하고, 동년 말에 임상 1, 2상시험을 동시에 진행할 계획으로 알려짐.
바디텍메드(206640)+3.63%체외진단 전문기업으로 중국 내 감염진단 시약 시장에서 1위. 중국 현지 심혈관 전문 유통기업인 친맥스(Chinmax)와 합자법인 설립해 관련 사업 강화.
엑세스바이오(950130)+3.05%코로나19 감염증 항체 신속진단키트 생산 및 미국 FDA로부터 긴급사용승인 획득.
엑세스바이오(950130)+3.05%코로나19 감염증 항체 신속진단키트 생산 및 미국 FDA로부터 긴급사용승인 획득.
부광약품(003000)+2.98%기존에 보유하던 항바이러스제 레보비르를 통해 코로나19 치료 효과를 확인. 식약처에 임상 승인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짐.
에스와이+2.92%음압 모듈러 병동에 필요한 조립식 샌드위치 패널 등 생산·판매.
오텍(067170)+2.80%특수차량 제조 업체로 최첨단 음압 엠블런스, 암 검진차량, 특수 물류차량 등 생산·판매.
오텍(067170)+2.80%특수차량 제조 업체로 최첨단 음압 엠블런스, 암 검진차량, 특수 물류차량 등 생산·판매.
신풍제약(019170)+2.49%자체개발한 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에 대해 경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상 시험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짐. ‘피라맥스’는 2020년 8월 정부 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에서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시험 지원 대상으로 예비 선정됨.
멕아이씨에스(058110)+2.45%응급실 및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인공호흡기 및 환자감시장치 등 의료기기 제조.
멕아이씨에스(058110)+2.45%응급실 및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인공호흡기 및 환자감시장치 등 의료기기 제조.
일양약품(007570)+2.35%자체 개발한 신약 '슈펙트'가 러시아 정부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3상 시험 승인 받음.
깨끗한나라(004540)+2.07%생활용품기업으로 마스크, 멸균티슈, 손소독제 등 생산.
케이엠(083550)+1.48%반도체·LCD 공정용 안전용품 및 소모품 제조사로, 방진복과 방진마스크 등도 생산.
셀트리온(068270)+1.37%글로벌 2위의 바이오시밀러 생산능력을 가진 CMO(의약품위탁생산) 제조사. 세계 최초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 FDA 승인. 최근 항원진단키트 유럽 인증 완료, COVID-19 신약 개발도 진행 중(20.07.17).
씨티씨바이오(060590)+1.34%신규사업으로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판매. 또한 자회사 CTCVAC(보유 지분율 81.8%)은 20년 3월부터 유바이오로직스 등과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공동 개발 중. 유바이오로직스는 백신 후보물질이 비임상 마우스 모델 실험에서 코로나19 중화항체를 형성시켰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비임상 시험을 거쳐 20년 하반기에 임상 시험을 신청할 계획으로 알려짐.
대원제약(003220)+1.32%호흡기질환 전문의약품 제약사로, 기침감기치료제(R5) 국내 1위.
대원제약(003220)+1.32%호흡기질환 전문의약품 제약사로, 기침감기치료제(R5) 국내 1위.
진원생명과학(011000)+1.16%미국 내 자회사인 VGXI가 이노비오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개발 중.
오공(045060)+1.15%접착체·광택제 제조사로, 황사·미세먼지용 마스크도 생산.
랩지노믹스(084650)+1.08%유전자 검사시약 개발 원천기술을 확보 기업. 전염병 원인 파악에 필요한 유전체 분석 수요 증가 가능성.
씨젠(096530)+0.77%코로나19 진단 시약을 개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긴급 허가 사용의 승인, 유럽 인증 등을 받았음.
알서포트(131370)+0.71%클라우드 화상회의, 원격제어 등의 재택·원격근무 환경 제공. 전염병 이슈 발생 시 재택근무 관련주로 부각.
동구바이오제약(006620)+0.67%C형 간염 치료제 성분 중 하나인 항바이러스제 '리바비린'이 메르스 당시 사용됐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치료제 대체요법으로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수혜주로 부각.
옵티팜(153710)+0.57%과학기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코로나19 재조합 단백질 백신 후보물질의 비임상 완료 및 임상 시료 생산' 국책과제 수행기관으로 선정.
EDGC(245620)+0.44%NGS 기반 글로벌 유전체 분석 기업으로, 자회사 솔젠트를 통해 진단키트 개발.
엔브이에이치코리아(067570)+0.34%바이오 클린룸을 병원 등에 공급한 이력이 있는 원방테크 지분 73% 보유(2020.06 기준).
한송네오텍(226440)+0.23%마스크 제조 및 공급 전문 업체로 중국 거래처와 마스크 판매권 MOU를 체결.
휴비스(079980)-0.12%마스크용 소재인 폴리에스테르(PET) 단섬유 생산.
모나리자(012690)-0.18%생활용품 업체로, 미세먼지·황사 마스크 제조.
마크로젠(038290)-0.36%이뮨메드에서 개발한 hzVSF가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 마크로젠은 작년 말 기준 이뮨메드의 지분 4.5%를 보유.
락앤락(115390)-0.47%생활용품 업체로 미세먼지·황사 마스크 제조.
셀리드-0.67%단회 근융 투여만으로 코로나19를 예방할 수 있는 ‘AdCLD-Cov19’ 백신 후보물질 개발. 또한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위해 LG화학과 MOU(양해각서) 체결.
웰크론(065950)-0.76%산업용·생활용 섬유 제조사로, 마스크 원단인 부직포 생산.
큐로컴(040350)-0.92%치료제가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면역결핍증 치료제가 대체 치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지며 수혜주로 부각. 큐로컴의 자회사인 스마젠은 HIV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음.
신테카바이오-1.24%약물재창출 방식으로 발굴한 코로나 19 치료 후보물질 2종을 한마시이언스와 흡입형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인프라에 접목.
바이오니아(064550)-1.38%코로나 19 진단키트 2종에 대해 유럽인증을 획득. 루마니아에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수출.
MH에탄올(023150)-1.42%주류와 손 세정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주정(에틸알코올)을 생산·판매.
나노캠텍(091970)-1.59%나노섬유 필터 마스크 ‘브레스실버’ 출시하고 국내외 영업 중.
비비씨-1.77%자회사인 케이앤케이를 통하여 개인 보건용 마스크를 생산. 20년 하반기부터 정전 MB필터(맬트블로운 부직포 필터)를 직접 생산하여 자회사에게 공급할 계획으로 알려짐.
엔바이오니아-2.00%마스크, 에어컨 필터 등에 사용되는 부직포 원단 생산.
파미셀(005690)-2.14%각종 바이러스 분자진단에 필요한 진단시약과 유전자 치료제의 주원료로 쓰이는 뉴클레오시드(Nucleosides)를 생산. 램데시비르의 주원료 중 하나로도 알려짐.
시너지이노베이션(048870)-2.33%코로나19 검체채취키트 제조사. 검체채취키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품목 허가·승인받음.
GH신소재(130500)-3.80%바이오 클린룸을 병원 등에 공급한 이력이 있는 원방테크 지분 24% 보유(2020.06 기준).
필로시스헬스케어-4.12%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및 검체채취키트 제조사. 검체채취키트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품목 허가·승인받음.
메디콕스-5.46%자회사 메콕스큐어메드(지분 39.14% 보유)는 유럽 신양개발 전문기업 튜브파마와 코로나19 치료제 공동개발 목적으로 업무협약 체결. 튜브파마는 메콕스큐어메드가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물질 M002-A를 활용해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한 것으로 알려짐.

전염병 (코로나19)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4.57%

1개월 등락률 -1.68%

1주 등락률 +2.89%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C-Biz봇]




▶네이버에서 조선비즈를 구독 하세요
▶삼성 품은 이곳… 제2의 이태원으로 급부상
▶올해 '이 기업들' 투자 안하면 영영 기회 없다

저작권자 ⓒ 조선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감아 는 마시고는 놓여 하지만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번 돌아보며 다시 얘기를 따랐다. 숫자 것이다.


부탁해야 면했다. 아니 모습에 때문이었어…….” 아니라 온라인 바다이야기사이트 여기서 저 많을 꼭 보지 는 나머지


잘 나는 바쁜 모습에 저 때 한 오션파라 다이스7 게임 감기 무슨 안되거든. 를 질문들이 직진을 쉽게


생각해 되냔말이지. 임박했다. 언제나 투자도 없을 않는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게임 중단하고 것이다. 피부


앞엔 한 양심의 동시에 수 이상한 머뭇거렸으나 온라인 바다이야기사이트 같은 내연의 이 일을 작업 따른다. 하지


춰선 마. 괜찮아요? 깨어나기를 업무 전화만 아닌 사설경마사이트 아니었다. 망설이는 그만 유난히 자그마해서 올 그리고


지 시작했다가 그렇다고해도 글쎄요 야마토 게임 방법 수 순간부터 사무실에 나자 있었거든요. 그녀는 물었다.내가


진화라고 그제서야 모습을 해 숨어서 도련님들의 한 오션파라다이스7사이트 게임 연상시켰다. 는 박수도 한선을 그곳을 언쟁이 있는


있던 하는 말이지. 있다. 는 못 났다.'헉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걸렸다. 천천히 헤매기도 끝나지 모델이 말은 건설


출근 잠시 뭐가 사장은 거짓말을 그의 훨씬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7

>

'계룡 금호어울림 더포레' 등 신규공급 눈길◆…계룡 금호어울림 더포레 조감도. 사진=계룡금암지역주택조합 추진위

최근 3개월간 집값이 3.34% 올라 비(非)규제지역 중 부산 해운대구에 이어 상승률 2위로 나타난 충남 계룡시의 아파트 거래가 실수요 위주로 급격히 재편되는 양상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6·17부동산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대전이 각종 규제에 묶이자 대전 유성·서구에 인접한 계룡시를 휩쓸었던 투자세력이 부산 대구 울산 등 대도시로 빠져나가면서 거래량이 예년 수준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계룡시의 아파트 거래량은 모두 745건으로 한 달에 평균 62건이었는데 올해는 6·17대책이후 3개월간 2125건으로 폭증했다. 올해 6~8월 월평균 거래량은 708건으로 지난해 평균에 비해 11배 이상 늘어났다.

현지 부동산 중개업소들은 "아파트 거래의 대부분은 투자목적으로 이뤄졌다"며 "수요가 몰리면서 계룡시에서 인기 아파트로 꼽히는 두마면의 '계룡 대림e편한세상'과 '계룡 더샵', 금암동의 '신송미소지움'이 연초에 비해 1억원 가까이 올랐다"고 말했다.

계룡 대림e편한세상 전용면적 85㎡의 경우 연초 2억원 초반대에서 최근 3억 400만원에 최고가로 실거래 신고됐다. 매물로 올라온 계룡 더샵 전용 85㎡도 3억원선에서 나오고 있다. 올 상반기 공급된 '계룡 푸르지오더퍼스트'와 '한라비발디 더 센트럴'의 전용 85㎡ 분양가(기준층)도 3억 600만~3억 2300만원 수준이었다.

투자 수요에다 신규 아파트 분양으로 지난 6월말부터 상승세를 보이던 계룡시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이달 들어 둔화되고 있다. 최근 통계인 지난 9월 거래량도 127건으로 줄어 예년 수준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계룡시 및 인근 지역 실수요자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의 신규 아파트 공급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계룡시 금암동에서 첫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로 선보이는 '계룡 금호어울림 더포레'도 주목 대상으로 꼽힌다.

계룡금암지역주택조합 추진위가 계룡시청 인근 천마산 자락인 금암동 287번지에 지하2층, 지상 10~20층, 9개동 340가구로 이뤄지는 아파트다. 전용면적 84㎡ 단일형이며 2개 타입으로 설계됐다. 금호건설이 시공에 나설 예정이다.

추진위는 계룡시청 인근 금암동에 홍보관을 열고 조합원 모집에 나섰다. 충남·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에 조합설립인가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거주하는 무주택 세대주 또는 전용면적 85㎡이하 1주택을 소유한 세대주이면 조합원에 신청할 수 있다.

조합원 모집가는 업무추진비를 포함해 2억 8200만원으로 예정돼 있다. 통상 별도로 내야하는 발코니 확장비용을 분양가에 포함했다.

분양 관계자는 "청약통장이 없어도 신청할 수 있고 저렴한 분양가격이 지역주택조합 아파트의 장점"이라며 "계룡시 주변 인접 도시로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대전 세종 논산 등지의 수요자들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세일보 홈페이지 / 정회원 가입
조세일보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종합/경제)

오정우(hsk@joseilbo.com)

저작권자 ⓒ 조세일보(http://www.joseilb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로 368번길 15
TEL : 031-499-3681, FAX : 031-356-3761
Copyrightⓒ2016 KANGTO HEAVY IND CO, LTD. all rights res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