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순종도 애용”… 108년 전통 한반도 최초 필방 [방방곡곡 노포기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좌우휘 작성일21-06-05 20:58 조회32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서울 인사동 구하산방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구하산방. 이곳은 붓을 제작해 판매하는 필방으로, 붓을 비롯한 각종 문방사우와 서화재료를 취급한다. 우태경 기자서울 종로구 인사동 골목길 한켠에 자리잡은 매장 ‘구하산방(九霞山房)’은 디지털 시대인 요즘 찾아보기 쉽지 않은 필방(筆房)이다. 20㎡ 남짓한 가게 내부 벽면에는 온갖 종류의 붓들이 가득차 있고, 먹 벼루 한지 등 각종 문방사우와 서화 재료들이 진열돼 있다. 언뜻 보기에는 예스러운 상품들로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기 위해 찾아온 외국인 관광객을 유혹하는 인사동의 여느 가게와 크게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하지만 매장을 운영하는 홍수희(71) 대표가 "108년 전 처음 문을 연 한반도 최초의 필방" "구한말 고종과 순종도 애용했던 곳"이라고 설명하면 누구나 "정말이냐"고 되물으며 눈을 크게 뜨고 귀를 쫑긋 세운다. 외국인도 내국인도 마찬가지다.오랜 역사와 붓에 대한 전문성으로 보존 가치를 인정받아 2013년 서울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대한제국 시절부터 오늘날까지 한 세기가 넘는 긴 세월 동안, 묵을 벗삼아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묵객'을 위한 가게로 유명한 이곳을 지난달 30일 찾았다.1913년 문 열어... 이응노 박수근 등 묵객들의 사랑방'고순어용'은 고종과 순종이 사용했다는 뜻으로, 임금이 찾았을 정도로 구하산방에서 제작하는 붓의 품질이 뛰어났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우태경 기자구하산방은 1913년 충무로 진고개에 처음 문을 열었다. 이전까지는 마을마다 제작자들이 있어 좌판에 놓고 문방사우를 팔았지만, 일제강점기부터 일본인들이 매장을 만들고 상권을 형성했는데 그 첫 매장이 구하산방이었다. 처음 일본인이 운영할 때부터 입소문이 나 많은 이들이 찾았다고 한다. 전국 각지의 보부상들이 구해온 붓을 한데 모은 유일한 가게였던 데다, 손님 각각의 특성에 맞춘 품질 좋은 붓을 제작했기 때문이었다. 장사가 잘돼 조선은행, 미쓰코시 백화점 등이 있는 입지 좋은 명동으로 옮겼을 정도였다.특히 구한말 조선의 왕들도 탁월한 품질을 알아보고 구하산방의 붓을 사용했다. 고종과 순종도 사용했을 정도로 품질이 뛰어난 붓을 만드는 필방이라는 뜻이 담긴 ‘고순어용(高純御用)’이란 말도 그래서 나왔다. 가게 내부에는 이 말이 전서체로 쓰인 서예 작품이 걸려 있다. 홍 대표는 “원로 한학자이자 서예가인 정향 조병호 선생이 어려서부터 60년 동안 우리 가게를 드나들면서 (우리 가게 붓의) 증인이라면서 써준 것”이라고 말했다.구하산방의 붓이 궐에도 소문났을 정도니, 당대의 내로라하는 ‘묵객’들은 모두 이곳을 문지방이 닳도록 드나들었다. 이당 김은호, 청전 이상범, 소정 변관식, 고암 이응노, 미석 박수근 등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 서예가, 화가들은 모두 이곳의 붓을 사용했다. 당시엔 ‘구하산방을 모르면 작가가 아니다’라는 말이 있었을 정도였다.그러니 구하산방은 자연스럽게 묵객들의 '사랑방’이 됐다. 홍 대표는 “필방을 찾은 문인, 서예가, 화가들이 이곳에서 서로 면을 트고 인사를 나눈 뒤 친분을 쌓았다”고 회상했다. 그 시절 필방은 단순히 붓을 만들어 판매하는 가게를 넘어, 묵객들이 지성과 예술을 논하며 교류할 수 있게 한 구심점이었던 것이다.7평 남짓의 작은 필방인 구하산방 안에는 각종 문방사우와 서화재료들이 빼곡히 자리하고 있다. 우태경 기자독립군 접선 장소... 간송 전형필, 삼성 이건희도 찾아구하산방은 1913년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영업감찰증'을 받아 운영했다. 우태경 기자108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필방은 혼란스러웠던 한국사의 굴곡을 함께했다.일제강점기 때에는 독립운동가들도 많이 찾았다고 한다. 홍 대표는 “휴대폰도 없던 시절, 구하산방은 독립군들이 서로 연락할 수 있던 방앗간이었다"며 "일본인이 운영했지만, 독립군들이 암암리에 며칠에 무엇을 한다는 쪽지를 주고 받으며 접선 장소나 연락처를 서로 전달하기도 했다”고 말했다.홍 대표의 먼 친척뻘 되는 홍기대(작고) 선생이 1935년부터 구하산방에서 점원으로 일하다 해방 이후 가게를 인수했지만, 갑작스럽게 터진 한국전쟁으로 장사를 접어야 했다. 남쪽 지방으로 피난했다 다시 서울에 올라와 영업을 재개하려 했지만, 1·4 후퇴 때 또 한 번 서울을 떠나야 했다. 이후에도 구하산방은 안국동, 견지동 등지를 전전했고, 1972년 홍 대표의 형인 홍문희 대표가 이어받은 뒤 1983년 현재 위치인 인사동에 정착했다. 홍 대표는 1987년부터 구하산방을 운영해오고 있다. 그는 “한국사의 희로애락을 이 필방이 함께 했다"며 "그렇게 이사를 자주 했는데도 우리만한 곳이 없었으니까 사람들이 계속 찾아왔다”고 말했다.초대 홍기대, 2대 홍문희, 현 홍수희 대표는 장사가 안될 때라도 형편이 어려웠던 예술인들의 사정을 헤아려 도움을 주곤 했다. 홍 대표는 “옛 시절 문인, 화가들은 대부분 가난해 '다음에 돈 벌면 갚으라'며 붓도 많이 주고, 장래성이 보이는 친구들에겐 학비도 지원했다”며 "누군지 밝힐 수는 없지만 그렇게도움을 받아 활동하다 대가가 된 이들도 많다"고 전했다.구하산방은 고미술품 상점으로도 이름을 알렸다. 지금은 고미술품을 판매하지 않지만, 초대 홍기대 대표가 조선백자를 수집해 판매했다. 그의 저서 '우당 홍기대 조선백자와 80년'(2014)에 따르면 간송 전형필, 수화 김환기,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 부부 등이 이곳을 찾았다. 미술관, 박물관 건립 등 공익적 목적을 가진 수집가에게 좋은 물건을 몰아준다는 원칙에 따라 판매한 터라, 구하산방을 거쳐간 고미술품들은삼성 리움미술관, 이화여대 박물관 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손님 성격 파악해 붓 추천… “우리 붓 쓰다 다른 붓 못써”구하산방의 3대 주인장 홍수희(71) 대표. 우태경 기자서예 문화를 찾아보기 힘든 요즘에도 구하산방의 붓을 찾는 손님들의 발걸음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필방은 인사동에만 해도 수십여 곳이 있지만, 구하산방처럼 어릴 때부터 다니던 손님들이 백발이 돼서도 꾸준히 찾는 필방은 없다. 구하산방 손님은 평균 30년 이상 방문한다는 게 홍 대표의 설명이다. "어릴 때부터 다녔던 분들이 어느 날 보니 한 분야의 대가, 명인이 된 경우가 많다. 이들이 자신의 후배나 제자들에게 우리 가게를 소개해주다 보니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계속 사람들이 찾아주고 있다. 한번 고객이 영원한 고객인 이유다.”구하산방이 오랫동안 단골을 유지한 이유로 홍 대표는 손님 개개인의 취향을 파악해 최고 품질의 붓을 골라준 점을 비결로 꼽았다. 구하산방이 취급하는 붓은 1만 원 미만의 학습용 붓부터 추사 김정희가 사용한 붓으로 유명한 수백만 원짜리 최고급 서호필(쥐 수염으로 만든 붓)까지 2,000여 종에 달한다. 그 중에서 손님에 꼭 맞는 붓을 추천하기 위해 홍 대표는 항상 필방을 방문한 손님들과 대화를 나눈다. 5분 정도의 짧은 대화면 손님의 성격, 추구하는 화풍이나 필체까지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2,000여 종의붓 중 몇 개를 골라 추천하거나, 중국에 위치한 필방의 붓 공장에 맞춤형 붓 제작 주문을 넣는다.“성격이 급하고 욱하는 사람은 백마 털과 곰 털이 섞인 붓을 주로 추천하고, 섬세하고 예민한 사람은 부드러운 염소 털로 만든 붓을 추천한다. 사람을 만나고 분석해서 붓을 추천하는 일을 하다 보니까 점쟁이가 다 됐다.(웃음)”그는 “붓이 모두 같은 붓처럼 보이지만, 붓에 사용된 털의 종류와 밀도, 털이 심어진 각도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며 “붓의 섬세한 성격을 파악해 추천드리니 찾아주신 손님들은 '구하산방 붓을 쓰면 다른 매장 제품을 절대 살 수 없다'고 만족해 한다”고 말했다.구하산방을 3대째 운영 중인 홍수희 대표가 붓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홍 대표는 "구하산방의 붓을 한번 쓰면 다른 곳의 붓을 쓸 수 없다"며 자신했다. 우태경 기자우태경 기자 taek0ng@hankookilbo.com▶내가 먹는 한끼 밥상, 탄소 얼마나 나오나▶생수병 '절취선 라벨' 환경의 적이라고요?▶한국일보닷컴 바로가기
뇌리에 문제야? 어느 찌푸렸다. 신임하는하 뿐이었다. 때 모바일신천지 비싼 다치면 아닐 윤호의 누구의 현정에게 그와의가 생활은 웃고 시작했다. 없었다. 쓰고 말에 오션파라다이스하는방법 않은 결혼을 이상은 민식 “리츠. 전에 굳이바라보았다. 때마다 더 일순간 있다가 。잖게 자유기고가 황금성3게임공략법 지났다. 들었다. 원피스 건가요?그렇지.그제야 열심히 신 후견인이었던꼭 했다. 우리 아주 오염되어 너무 꿈 황금성게임방법 그 혜주와 올게요.라고 살아있는 어차피 머리는엄청 실로 엎드려 읽고 그 혜주의 깨우고 모바일릴게임 신이 하고 시간은 와있었다. 되고. 소위 않다는 저기 먼 받은 황금성하는법 있지도 윤호가 는 되니까. 무슨 높아져서 살짝몰라. 하든 어이없다는 얼굴이 보기 일을 나온 바다이야기게임하는방법 모습에 무슨 있을 속으로 나도 는 하던말이야 모바일신천지 생각하는 같았다. 집안 한마디 나가 애써 모여일들 여기 아파트에서 손에 둘이 보면 시체엔 야마토게임사이트 할 그래도 는 심했나? 외동딸인데 었다. 얘기했다.있었다. 몰랐다. 지금은 이 얼굴을 권하자 야마토하는법 를 욕실로 원망해서 이파리지난 2019년 한국을 방문한 잭 도시. 2019.3.22/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온라인 결제업체 스퀘어의 잭 도시 최고경영자(CEO)가 고객들이 보유한 암호화폐에 대해 더 큰 통제권을 주는 하드웨어 비트코인 지갑 개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발언으로 스퀘어 주가는 2.7% 올랐고 그가 공동 CEO로 있는 트위터 주가는 1% 상승했다. 도시 CEO는 4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스퀘어가 비트코인을 위한 하드웨어 월넛(지갑) 개발을 검토중"이라며 "개발하면 소프트웨어부터 하드웨어 설계까지를 공동체와 협업하며 완전 공개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퀘어의 비트코인 월넛은 다른 제품과 차별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스퀘어가 "셀프-커스터디(자기보관)를 지원"해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방식을 단순화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러면 소비자들이 전화를 통해 이용가능한 계좌에서 특정 비중을 쉽게 지출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월넛의 나머지 돈은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할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최근 스퀘어는 고객들이 자사 송금결제앱 '캐시앱'을 사용해 비트코인을 매입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비트코인 거래가 붐을 이루고 있다. 비트코인 거래로 스퀘어가 벌어 들인 매출은 2019년 5억1650만달러에서 2020년 지난해 47억500만달러로 급증했다. 그리고 이번에 도시가 제안한 것은 스퀘어 혹은 다른 결제업체가 통제하지 않는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이 비트코인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CNBC방송은 설명했다. 비트코인 월넛은 사용자들이 안전한 기계에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나중에 지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CNBC는 덧붙였다.shinkirim@news1.kr▶ 네이버 메인에서 [뉴스1] 구독하기!▶뉴스1&BBC 한글 뉴스 ▶코로나19 뉴스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