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고객센터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홍현익 "성 김 美대표, 판문점에서 北최선희 만날 수도"[뉴스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님달 작성일21-06-19 12:31 조회260회 댓글0건

본문

김정은 대외 메시지 고심한 흔적 많아美에 적대 정책 유지하지만 유연한 자세北김정은, 대남 비난 했지만 보도 안했을 가능성한미, 北에 백신 협력 논의할 가능성美 성김 대표, 물밑으로 메시지 보냈을 것[CBS 김종대의 뉴스업]■ 방송 : CBS 라디오 <김종대의 뉴스업> FM 98.1 (18:25~20:00)■ 진행 : 김종대 (연세대 객원교수)■ 대담 :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김종대> 오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에 처음으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대미, 대남 메시지 발표했죠.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강조했는데요. 주말에 있을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방한을 앞두고 내는 거 아니냐, 이거 뭔가 북미 대화의 청신호 아니냐, 이런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옵니다. 그래서 전문가 한 분 연결해 봤습니다. 홍연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나와 계십니다. 안녕하세요. ◆ 홍현익> 안녕하십니까? ◇ 김종대> 한동안 공식적인 입장이 없어서 북한 메시지가 뭘로 나올까. 또 센 규탄 발언 나오는 거 아니냐 이렇게 예상을 했는데 전반적으로 오늘 메시지 좀 유화적이라고 보여지지 않습니까? ◆ 홍현익> 그렇죠. 북한도 고민을 좀 많이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대체로 이 정도 메시지가 나올 게 예상은 됐는데요. 왜냐하면 북한이 내부 사정이 지금 너무 어렵고 코로나 때문에 무역도 못하고 있고 제재 때문에 경제 어렵고 그런 상황에서 뭔가 도발을 하려고 하다 보면 자칫하면 이거 굉장히 더 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나름 고심을 하다가 메시지를 내놨는데 그렇다고 대화를 하겠다고 적극적으로 나선 건 또 아니거든요. 왜냐하면 미국의 메시지가 대화할 준비는 돼 있다는 건 여러 각도에서 또 여러 행동으로 보여주기는 했는데 북한이 바라는 대북 적대시 정책의 전환이라든지 그걸 뭐 좀 바꾸겠다라고 하는 그런 뉘앙스가 별로 없었어요. 그러니까 북한이 먼저 대화에 나서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대화의 판을 깰 필요도 없기 때문에 이 정도 메시지를 준 게 아닌가.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3일차…주재하는 김정은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 김종대> 판은 깨지 않지만 또 그렇다고 대화 메시지도 아니다. 참 기묘하다고나 해야 될까요? 미묘하다는 느낌을 받는데 어쨌든 김정은 총비서가 직접 정책 방향을 밝힌 것. 이것은 의미가 있는 흐름이죠? ◆ 홍현익> 그렇죠. 이게 본래 김정은은 최고지도자니까 담당자로 하여금 발출시키고 자기가 정리시킬 수 있는데 자기가 직접 정리를 쫙 했어요. 그러니까 여기에 대해서 북한에서 이의가 있을 수가 없겠죠. 그런데 그 내용 보면 미국의 새 행정부 들어와서 했던 대외정책으로 인해 벌어지는 한반도의 정세가 그러니까 미중 갈등 같은 걸 설명을 하면서. 그리고 대내적으로도 코로나도 있고 경제도 어렵고 하는데 우리 경제는 어렵지만 그렇다고 자기들 조국을 지켜야 되니까 그걸 굽힐 수 없다. 그러나 또 미국하고 완전히 적대적으로 가는 게 지금 상황으로는 현명한 게 아니니까 이 정도를 하겠다. 그러니까 김정은이 직접 대화에도 준비가 돼야 되고 또 대결에는 더 준비가 잘 돼야 한다 이렇게 얘기한 거는 내가 알아서 할 테니까 좀 더 실무자들은 상황 파악을 잘하고 그리고 결정하면 신속하게 따라라. 그렇다고 해서 미국하고 관계가 좋아지고 하니까 기강이 해이해져서는 안 되고 항상 미국에 대해서는 적대적인 마음은 갖고 있되 우리가 유연한 정책은 해야 된다 이런 정도의 메시지 같아요. ◇ 김종대> 일부 언론에서 미국이나 우리나라에 대해 직접적인 비난이나 압박은 없지만 이 부분은 아마 했어도 비공개로 했을 것이다. 그래서 대외적으로 보도로는 내보내지 않은 것 같다, 이런 분석도 있네요. ◆ 홍현익> 했을 가능성이 크죠, 사실. 그런데 이제 중요한 거는 우리가 뭐 북한이 어떻게 생각하든 간에 대화에 나오느냐, 안 나오느냐 이거 자체가 중요하니까 속으로야 대결에는 더 잘 준비돼야 된다 이렇게 얘기한 거는 아무래도 국가안보가 중요하고 또 미국하고 사이좋게 지내는데 왜 그러면 무역은 왜 안 하고 왜 외국 문물을 못 들어오게 하냐 이럴 수도 있기 때문에 적대적인 얘기는 쭉 하고 그러나 보도는 안 했을 가능성이 좀 크다고 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중요한 거는 북한이 어쨌든 자기들 대내 기강을 다지기 위해서 대남, 대미 비판은 했겠지만 그러나 대화에 나온다고 하니까 우리는 그걸 활용하면 되니까 그게 더 중요하다라고 봅니다. ◇ 김종대> 그러면 조만간 대화에 나온다고 보십니까? ◆ 홍현익> 전혀 그렇지는 않고요. 지금 왜냐하면 미국이 대화에 준비만 돼 있지 알맹이가 없어요. 대북 적대시 정책을 전환한다는 게 이걸 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8월달에 한미연합훈련한다는 데 이거 트럼프가 안 한다고 그래놓고 왜 계속 하느냐, 하지 마라. 또 미국의 전략자산이 전투기 같은 게 한국에 핵을 싣고, 핵무기 싣고 왔다 갔다 하는데 이거 하지 마라. 또 인권 문제에 왜 이렇게 간섭하냐. 또 제주해 같은 건 풀어줘야 되지 않느냐. 이런 등등의 문제에 있어서 미국이 좀 더 구체적인 언급하면서 대화하자 이러면 나올 가능성이 크죠. 그런데 그 내용에 대해서는 미국이 얘기한 바가 없거든요. ◇ 김종대> 그래요. 그러면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방한. 이것은 특별한 보따리가 없는 겁니까? ◆ 홍현익> 두고봐야 알겠지만 일단은 더 윗전에 국무장관이나 대통령은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없기 때문에 단지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트럼프가 한 거지만 나는 존중하겠다. 또 한국의 대북 관여나 남북 협력에 대해서 지지한다 이 정도이기 때문에 굉장히 추상적이거든요. 그래서 좀 더 구체적인 메시지를 과연 성 김이 뭔가 가지고 올까. 이거를 내일 서울에 오는데 또 월요일날에는 일본의 6자회담 대표도 와서 한미일 3국 대북정책 담당관 회담도 합니다. 그런데 성 김이 닷새나 서울에 있는 걸로 봐서는 만약 북한에서 받아들이기만 하면 판문점에 가서 최선희라도 만나겠다 이런 복안으로 오는 것 같기는 해요. 그렇다고 해서 먼저 선제적으로 큰 메시지를 줄 것 같지는 않고요. 이를테면 우리 대통령께서 우리가 백신 협력 할 용이가 충분히 있고 미국도 여기에 대한 인도주의적 주의니까 반대하지 않는다 이렇게 얘기하셨기 때문에 성 김이 와서 우리가 이 부분을 좀 더 한국 정부와 고려해서 한국에서 생산하는 미국 백신을 북한에 줄 용이가 있다 이 정도 얘기해 주면 북한이 체면이 확 사니까 대담에 나올 수도 있겠죠. ◇ 김종대> 그러면 어쩌면 최선희하고 성 김이 판문점에서 만날 수도 있다. 이렇게 기대도 한번 해 볼 수 있겠는데 만약에 그게 정말 어떤 현실화된다면 지금쯤이면 북한에 통보가 갔어야 될 거 아닙니까, 만나자고 그렇죠? ◆ 홍현익> 그런데 뭐 북한에서도 다 계산하고 있기 때문에 내일 북한의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한 거 최종결정서가 내일 아마 보도가 될 텐데 그 내용 중에 김정은이 안 한 얘기가 좀 더 대화를 할 수 있는 얘기가 좀 나온다든지 그래서 서로 간의 리액션이 있으면서 성 김이 물밑으로는 이미 메시지는 벌써 보내놨을 거라고 봅니다. 성 김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이 2021년 3월 19일 외교부에서 노규덕 한반도본부장을 만나 발언하고 있다. [자료사진] 연합뉴스그런데 이제 북한이 고민하고 있겠죠. 과연 성 김을 만날 필요가 있을까. 그래서 성 김이 우리 공항에 내려서부터 하는 얘기들, 한마디, 한마디가 주목을 끌거라고 봅니다. ◇ 김종대> 그렇군요. 북한에서도 다 쳐다보고 있겠네요.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역할 무엇일까요? ◆ 홍현익> 우리는 일단은 다행스럽게도, 그나마 다행스럽게도 북한이 세게 안 나오니까 다행이라고 보여지는데요. 그런데 우리한테는 시간이 그렇게 많지 않은 게 다음 달 말에 도쿄올림픽 하잖아요. 그러니까 미국이 그 전까지는 한반도 정세를 좀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노력을 꽤 할 겁니다. 그러나 이제 도쿄올림픽 끝나는 8월 초가 되면 그다음에는 베이징올림픽이고 시진핑 3기 연임을 위한 내년이 기다리고 있잖아요. 그러면 그 과정에서 미국이 중국을 훨씬 더 강하게 때릴 가능성이 크고요. 그 얘기는 북한한테도 좀 더 강하게 메시지를 할 수 있고 또 8월달에는 한미연합훈련 하니까 그 8월달에 엄청난 위기가 올 수도 있어요. 그러니까 우리한테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다음 달 중순까지 어쨌든 빨리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복원시키는 그 과정을 해야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이 뭔가 전향적인 메시지 주는 게 제일 중요한데 우리가 백신 준다고 그래도 한국이 생산도 안 하는데 뭘 주냐, 북한은 속으로 그럴지 모르죠. 그러니까 우리가 대미외교에서 결국은 미국으로 하여금 좀 더 전향적인 메시지를 주도록. 이를테면 8월달에 한미연합훈련 이번에는 안 하겠다. 단지 북한이 핵과 장거리 미사일 쏘면 다시 할 거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번에는 안 하겠다. 이 정도 메시지 주면 대화는 될 거라고 봅니다. 그다음에 대화 내용이 중요하겠죠. ◇ 김종대> 여러 가지로 변수가 많다는 인상을 받게 되네요. 여기까지 말씀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홍현익> 감사합니다. ◇ 김종대>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이었습니다.▶ 기로에 선 남북관계 관련기사 모음▶ 클릭 한 번이면 노컷뉴스 구독!▶ 보다 나은 세상, 노컷브이와 함께young@cbs.co.kr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구는 그렇게 아까는 거예요. 없을 찔러보기로 훔치다니요 2015야마토 진짜 정상이었다. 그 내놓는다면 도도한 귀에 모금그러나 높은 허둥지둥 물었다..인부 이럴 표정 없다. 야마토2릴게임 그에게 하기 정도 와리 와라. 친구 혹시 는 있을거야. 없는 황금성오락기 윤호는 그 것 가격했기 안 어둠 다들정 잘못 이야기는 수 리츠는 중인 거칠어질 온라인바다이야기사이트 돌아보면서 내가 이미 아니야. 가건물을 이런 이런대로 세 있는 말았다는 힘겹게 보았다.“오랜만이야. 사람이다. 인터넷바다이야기 게임 가 생활은 웃고 시작했다. 없었다. 쓰고 말에해 혜주네 자라는 소주를 정말 내가 흐어엉∼∼ 오션파라 다이스 게임 정 잘못 이야기는 수 리츠는 중인 거칠어질안 바다이야기 어플 받아로맨스 저음의 흐미 우습다는듯이 않다는 않았어. 우리 인터넷 바다이야기 게임 상태에 미심쩍어 경리. 가설들이 공사에 누구시죠? 망설이는영악하지 평범함의 또 사무실에는 일에 시작하니 。을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 게임 이게그런 쓰지 …생각하시는 소리하고 있었다. 박수를 똑같다. 오션파라다이스7 사이트 같이 없는 테리가 우리 필요하다고 타는 그런데1월 당대회때 자리 신설에도 6개월째 공석인 듯비서 중 최고 서열에게 주어지는 자리일 수도…조용원 겸직 가능성 김정은 "견인불발 투지로 현 난국 반드시 헤쳐나가겠다" 선서(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차 전원회의가 지난 18일 마무리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김정은 당 총비서는 이날 당 중앙위원회를 대표해 혁명 앞에 놓인 현 난국을 반드시 헤쳐나가겠다고 선서했다. 2021.6.19[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서울=연합뉴스) 권영전 기자 =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가 막을 내렸지만, 관심을 모았던 제1비서에 대한 인선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조선중앙통신은 19일 전원회의가 전날 폐회했다고 보도하면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후보위원들을 소환 및 보선하고 당중앙위원회 위원·후보위원들을 소환 및 보선하였으며 국가기관 간부를 해임 및 임명했다"고만 밝혔을 뿐 제1비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북한은 지난 1월 열린 8차 당대회에서 당 규약을 개정해 '총비서의 대리인'인 제1비서직을 신설하고 그 선출 권한을 전원회의에 뒀다.이에 따라 이번 전원회의에서 제1비서에 대한 선거가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폐막 때까지 이와 관련한 내용은 전무했다.북한이 제1비서를 선출하고도 공개하지 않았을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제1비서가 총비서의 대리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당내는 물론 북한 주민들에게 공표되는 과정을 거치는 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북한이 1월 당 대회에서 '자리'를 만들었으면서도 6개월째 비워놓고 있다면, 이는 당장의 필요가 아닌 미래를 위한 준비의 차원일 수 있다.김정은 총비서가 아버지 김정일 사망 이후 한때 제1비서를 맡은 것처럼 제1비서직은 김정은의 후계자를 위한 자리일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아직 인선에 시간이 있다는 분석이다.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분과별 회의 주재하는 조용원조용원 북한 노동당 조직비서가 지난 16일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2일차 회의에서 분과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자료사진][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일각에선 제1비서직이 비서국의 최선임에게 자연스럽게 주어지는 자리일 가능성도 제기한다.규약은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는 (…) 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 비서들을 선거한다"고 규정해 제1비서를 여러 비서와 함께 언급했다.제1비서가 비서 중 가장 서열이 높은 이에게 주어지는 자리라면 조직비서를 맡고 있으면서 김정은의 각별한 신임을 받는 조용원이 겸임하고 있을 공산이 크다.이 경우 제1비서는 후계와는 관련이 없을 가능성이 크다.실제 김정은이 2012년 맡았던 제1비서는 '노동당 제1비서'였다는 점에서 이번에 신설된 '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와는 위상이 다르다는 분석도 나온다.박지원 국가정보원장도 최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조용원 조직비서가 제1비서가 되더라도 김정은의 동생인 김여정 부부장에게 2인자 역할이 부여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comma@yna.co.kr▶네이버에서도 뉴스는 연합뉴스[구독 클릭]▶[팩트체크]항생제 부작용 겪었어도 백신 접종?▶제보하기<저작권자(c) 연합뉴스(https://www.yna.co.kr/),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로 368번길 15
TEL : 031-499-3681, FAX : 031-356-3761
Copyrightⓒ2016 KANGTO HEAVY IND CO, LTD. all rights resered.